물리학 (3) 썸네일형 리스트형 [대학 물리학1]뉴턴의 제 2법칙 실험(북스힐, 고찰 및 검토, 데이터 분석) 학교에서 3번째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번 실험은 저번 실험에 비해서는 꽤나 간단한 실험이었다. 바로 시작. 실험 준비하기 이번 실험의 실험 도구는 대충 이런데 뭐 나도 어떻게 실험이 진행됐는지는 잘 모르겠다. 학교에서 제공해준 실험 동영상이 있긴 한데 그냥 안봄 ㅎ 뭐 어쨌든 이렇다고 한다. 실험 구조는 대강 이렇게 생겼는데 고등학교때 물리학 수업을 들은 학생이라면 이렇게 생긴 구조를 정말 많이 봤을 것이다. 설명해보자면 m(수레 + 힘센서)는 고정된 상태로 M(추 + 추 걸이)의 무게를 변경하여 가속도와 힘을 구하는 것이다. 우리는 총 3번의 실험을 진행했으므로 M의 무게는 3개의 데이터가 나오게 된다. 그에 따라서 가속도와 힘도 다르게 나올 것이다. 우선 무게 값은 이런데 45 = 0.045는 그냥 .. [대학 물리학 1] 비등속 원운동 예제 풀이 과정 및 설명 (북스힐) 물리학을 배우면서 처음으로 난관이 찾아왔다. 그것은 비등속 원운동 때문이었다. 고등학교 물리에서는 등속원운동에 관한것만 다루지 비등속은 다루지 않았다(참고로 원운동은 물리학 2에서 나오는 개념임). 하지만 비등속원운동은 비교적 좀 따져야 할게 많은 듯 하다. 우선 다음의 예제를 보면서 문제를 한번 풀어보도록 하자. 예제 6.4 공에 주목 그림 6.8에서처럼 질량 m인 작은 구가 길이 R의 줄 끝에 매달려 고정된 점 O를 중심으로 연직 평면에서 원운동을 하고 있다. 이 구의 속력이 v이고 줄이 연직 방향과 각도 θ를 이루고 있을 때 구의 접선 가속도와 줄의 장력을 구하라. θ의 위치에서의 가속도와 줄의 장력을 구하면 된다. 비교적 간단하지만 처음에는 도대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 지 감도 잡히지 않을 수도.. 유효 숫자를 꼭 지켜야 하는 걸까? (공대생 필독!) 대학교에 처음 입학한 새내기 공대생이 가장 처음 배우는 것은 아마 유효 숫자일 것이다. 유효 숫자 개념 자체는 어렵지 않은데, 문제는 이걸 배우고 나서부터 공대생들은 실험 보고서를 쓰든, 과제 문제를 풀든 유효숫자를 항상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과제나 실험 보고서를 쓰다 보면 어떤 문제가 하나 발생하게 된다. 과제를 풀때 실제로 내가 과제 문제를 풀면서 하나 막힌 부분이 있었다. 가속도를 구할 때 흔히 사용하는 공식인데, 문제는 저 2라는 것이다. 유효숫자 계산방법을 이용해서 위의 식을 계산할 경우 유효숫자는 결국 1개만 남게 된다. 그런데 저렇게 될 경우 유효숫자가 1개가 된다는 점이다. 그래서 결국 결괏값은 10, 5, 6 이런 식으로 될 수밖에 없다. 이게 맞는 걸까? 실제로 Excel을 통.. 이전 1 다음